목록분류 전체보기 (764)
내일 5프로 오를주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WmMs/btsyIH6Onzs/aKjWFyp1s5kymr0fGdVkyk/img.png)
사실 ETF에 대해서 공부를 하려고 해도 특별히 정보고 없고, 우리의 친구 네이버 종목게시판에 들어가도 지수추종 ETF가 아니면 거의 절간처럼 조용하죠. 때문에 스스로 알아서 찾아 공부를 해야하는데 이게 말처럼 그리 쉽진 않습니다. 때문에 ETF를 투자해야한다면 깜깜이 투자를 하지말고 관련 사이트 정도는 필수적으로 방문해서 내가 보유중인 혹은 매수하려는 ETF의 정보는 얻어야 하지 않을까 봅니다. 한국거래소 (KRX)홈페이지 http://www.krx.co.kr/main/main.jsp 한국거래소 대한민국의 힘으로, 자본시장의 내일로 www.krx.co.kr 특히 작가는 간행물의 KRX ETF ETN Monthly 자료를 꼭 봐야 한다고 추천하고 있는데, 사실 전 한번도 안봤는데....반성합니다. 시간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698P/btsyDN8rBV3/P15GzjLgJaJdODRkIgH60k/img.png)
ETF가 개별주식보다는 다양한 자본시장 리스크에 대해 비교적 안전하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태생이 결국은 자본시장의 상품에서 파생된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나름의 리스크가 있을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고 하지 않았나요? 때문에 ETF의 장점은 구태여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아시겠지만, 단점 즉 혹시 모를 리스크에 대해서 알아봐요. 1. 원금손실의 위험 당연하게도 ETF가 펀드의 성격 가지긴 하지만, 주식시장에 상장된 엄연한 주식입니다. 때문에 당연히 수급의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죠. 하지만 우리가 이전챕터 에서 알아 봤듯이 LP 즉 유동성 공급자가 종목에 일정 거래량을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리스크가 있긴하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죠. 물론 극단적인 상황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zxEQ/btsyDuIjr1S/Lhu9rl5a8o3vQtk9VK8bc1/img.png)
이미 우리가 종목용어로 ETF를 다룬적이 있지만, 사실 수박 겉햩기에 가까웠기 때문에 이책으로 좀 깊게 다뤄보기로 해요. 먼저 관련 개념을 쓴적이 있으면 먼저 보기로 해욤. 2023.09.23 - [주식용어] - 23.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23.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저도 처음에 ETF를 처음 접했을 때 너무나 신기했고, 이것만 있으면 구태여 왜 종목을 해야 하나 하고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냐 하고 물어보면 반반 정도로 바 5pro-up.tistory.com ETF가 만들어 지는 방법 좀 어렵긴 하지만 책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 보도록 할께요. ETF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두면 실제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DCJM/btsyHXIMCMt/HMe9fUDoMCJUfdiIHK34U0/img.png)
지금은 너무 대중화된 투자상품이 되었지만, 제가 ETF를 처음 접한시기에는 ETF는 정말 생소한 투자상품 이었죠. 하지만 사실상 개인 투자자가 시장 전체를 투자할만한 수단이 마땅치 않던 시절엔 ETF는 정말 획기적이었는데요 왜그런지는 이미 우리가 주식용어로 다루었기 때문에 링크로 대신할께요. 2023.09.23 - [주식용어] - 23.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23.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저도 처음에 ETF를 처음 접했을 때 너무나 신기했고, 이것만 있으면 구태여 왜 종목을 해야 하나 하고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냐 하고 물어보면 반반 정도로 바 5pro-up.tistory.com 하지만 솔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jR6b/btsyDAf33gP/b4iVAkBlmdkBfEj48L6Qkk/img.png)
1. 단순화 어렸을때 무협지를 보면, 고수가 되기위해 온갖 지식과 비법과 기술을 찾아다니며 온갖 스승에게 한수한수 배우며 성장하지만 결국은 그 경지에 끝에 다달으면, 모든것을 다 잊어 버리고 무아지경 초심의 마음으로 되돌아 가는게 진정으로 고수가 되는 길이라는 진짜 개뻥같은 사람허무하게 만드는 결말로 가는 레파토리가 많은데요. 뭐 실제로 얼마만큼 그게 설득력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어느 일에나 그런 비슷한 원리가 적용되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우리가 뭔가 비법을 배우고, 기술을 적용하는거 자체가 어떤 특정 조건 상황에서 가장 승리할 확률을 많은 경험을 통해서 얻어낸 팁중 하나잖아요. 때문에 그런 특정조건이 발현이 안되면, 거의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때문에 중국무술과 실전 격투기랑 싸우면 ..